반응형

가죽제품을 만드는 것은 할만한 도전이지만

 

'잘'만들기는 쉽지않아요 


가죽공예를 막 시작한 뉴비들은 이 느낌을 잘 아실거에요 ㅠㅜ

 


나는 최대한 꼼꼼하게 재단하고, 혼신의 힘을 다해 바느질을 했다고 생각했는데..

 

왜때문에 다이소에서 파는 지갑만도 못한 퀄리티의 완성물이 나오는가..

 

자괴감 느끼신분들 저랑 쐬주 짠! ㅋㅋㅋㅋㅋㅋㅋㅋ

 

창피한줄도 모르고 자신의 작품을 사용하는 하임의 모습

 

 

 

 

 

요게 제가 가장 최근에 만든 3mm두께의 기본 카드지갑입니다.

 

저의 경우에 기본 카드지갑을 만드는 시간은

 

최소4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최저시급기준으로  8,720원 * 4시간 = 34,880원의 노무비가 발생합니다.

가린이들은 아시죠? 가죽의 질과 가격은 비례하기때문에..

 

 

부자재의 비용, 도구의 가격! 이 모든 것들을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초기진입의 문턱이 높습니다.

 

 

 

취미로 하시는 분들은 정말, 부르주아가 아닐까...?많은 이들이 공감하실거에요..

 

 

배우려면 강의료까지 필요하니까요 (물론 독학으로 익히는 분들도 계십니다만..)

 

 

 

 

손익분기점을 넘기려면 2년은 성실하게 배워야겠구나 온 몸으로 겸허해짐

 

 

 

하임이 가죽공예를 하는 모습

 

가린이 입장에서 제가 자주하는 실수를 나열해보자면

 

 

1.재단을 잘못했다

 

2.목타를 후지게 쳤다

 

3.본딩하다가 가죽표면에 묻혀버리다.

 

4.엣지비베러로 정리하다 너무 많이 파먹어버렸다.

(4의 경우에는 피눈물이 납니다. 엣지비베러 작업은 거의 마지막에 하기때문에 시간낭비도 엄청납니다...ㅜㅜ)

 

5.불박이 망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외의 등골서늘한 경우들이 많은것을 아시죠??

정말 본전도 못건지는 날이 많아요 ㅠㅜ

 

가죽공예는 특히 각 과정마다 손 힘의 조절과 내 도구가 손에 익어야만 시작을 할 수 있어요..

다만, 매일 가죽칼로 재단하는 연습을 1,000번씩 하는 대신에

 

이렇게 실수를 해가면서 배우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ㄹㅇ마음이 찢어지지만 돈을 날려가면서 만들고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제가 저지른 저 다섯가지의 경우를 상세히 올리겠습니다.

(하임 수치플)

 

 

 

'공방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가죽공예를 배우러 공방으로 가다.  (2) 2021.06.23
반응형

가죽공예를 배우려면

기술을 전수해 줄 선생님부터

기본적인 도구, 손재주,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죠!

 

직장인이라면 시간과 체력을 쏟아야하고

학생이라면 알바를 하거나 갑자기 돈이 생겨나야합니다.

 

그러기에 많은 인터넷강의 플랫폼부터 유튜브 영상을 통해

독학을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저 또한 참고할 만한 유튜브 채널들을 찾아보았는데요.

저는 '레베기'님의 채널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레베기의 이상한 아뜰리에 바로가기>

이런 분들이 계시기에 조금 더 용기를 낼 수 있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오프라인 선생님을 찾아보았죠.

 

아주 심플한 방법으로 시작했죠.

 '네이버 지도찾기' ..나의 내비게이션. 이번에도 나를 정확한 길로 이끌어주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내 주변 '가죽공방' 위치찾기를 통해 리스트업 했습니다.

그리고 전화를 돌리면서 

"안녕하세요 사장님, 혹시 수강생 받으시나요?"

를 몇 번 반복했습니다.

 

*집에서 얼마나 가까운지

*실제로 작가님의 작품이 어떤지 서칭해보기(엿보기)

 

저의 나름대로 기준을 세워

가장 알맞은 곳을 선택했습니다.

 

<hymn이 다니는 공방은 바로..!>

이곳입니다.

 

선생님을 선택하는 것, 그리고 수강생을 받아주는 것은 진지한 의사결정입니다.

처음 전화를 걸고 면담시간을 잡아 한 시간정도 상담을 하고, 시작해보기로 했습니다.

다행히 수강할 수 있는 날이 맞아서 다행이었습니다.

u

+ Recent posts